보통 게임에서는 가상의 인물들이 프로그램에 입력된 몇 줄의 대사만 앵무새처럼 반복하다 보니 1,2분 정도면 대화가 끝나 버린다. 하지만 이건 실제 사람과 대화를 하는 것이니 한 시간이든 두 시간이든 속 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즉, PC통신망 전체가 끝없는 자유도를 부여하는 거대한 게임 시스템이 되어 주는 것이다. 39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사람들은 진실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이 냉소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 냉소가 양지로 끌려나왔을 때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눈부신 햇살 아래에서도 냉소가 살아남으려면 무언가 웃기는 존재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희화화는 현실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되는 셈이다. 58
레닌은 누군가를 욕할 때 책 한 권을 모두 동원하곤 했다. 어떤 주장에 대해서 반박을 할 때에도 당사자가 읽으면 자살을 하고 싶어질 정도로 가혹하게 짓밟았다. 그의 책을 읽으면 정말 그 논쟁의 상대는 바보 천치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69-70
돌이켜보면 참으로 순진한 생각이었다. 내가 입당을 한다고 해서 변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는데 말이다. 72
스탈린주의자들은 나름 체계적으로 일을 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 혁명을 잘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어 놓고 이를 전 세계에 배포하여 여러 나라에서 혁명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겠느냐 하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중략) 트로츠키의 생각처럼 스탈린을 비롯한 코민테른 관료들은 독일 말도 제대로 몰랐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이 독일 사회의 역사적 발전 단계를 판단하고 그에 맞는 교시를 내린 다는 것, 그 자체가 코미디다. 125
20대가 짱돌을 들지 않아서 문제, 20대가 투표를 하지 않아서 문제, 20대가 공부를 너무 열심히 해서 문제, 20대가 엄마 말을 너무 잘 들어서 문제.....
도대체 내가 무엇을 잘못 했다는 것인가? 179
사람이 사람을 품평하는 것이야 인류의 오랜 습관이니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또 그런 것들을 견뎌야 하는 것이 저의 처지이기도 하지요. 189
사람 인생이 짧은 것 같아도 어쨌든 여러가지 정치적 현실로부터 평생 도망갈 수는 없지 않습니까? 200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주의자 선언, 문유석 (0) | 2015.11.06 |
---|---|
조울병, 나는 이렇게 극복했다, 케이 레드필드 재미슨 지음, 박민철 옮김 (0) | 2015.10.27 |
예피판의 갑문, 플라토노프 (0) | 2015.10.12 |
적록포럼 발제를 위한 책들 (0) | 2015.10.12 |
아빠의 현대사, 이근원 (0) | 201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