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타겟 책이라지만 나는 잘 읽었다 오히려 청소년 독자를 타겟으로 하는 책이 쓰기 힘들 수도 있다.
여당과 야당 모두 자신이 유리한 대로 각각 노인층에만, 그리고 젊은층에만 해당하는 정책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한 사회는 나이든 사람만 사는 곳도 아니고 젊은 사람만 사는 곳도 아니다. 어떻게든 함께 살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런 전제에서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합의를 만들어야 한다. 21
그래서 정치의 효과는 당사자가 얼마나 자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는지, 그리고 정치 제도가 그와 같은 문제의 당사자가 나설 수 있도록 얼마나 도와주는지에 따라 달라질수밖에 없다. 29
국회의원의 책임은 단순히 법을 잘 만드는 것뿐이 아니다. 그 법이 만들어지면 나타나는 효과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그 법이 필요한지 국민들과 끊임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것이 모든 국민에게 영향을 주는 법을 만들 수 있는 국회의원의 책임이다. 64
정치는 그것이 얼마나 복잡하든간에 '두 사람 이상의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뜻한다. 103
정치학자들은 오늘날의 민주주의가 최소한 두 가지 이념을 따르고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나는 국민의 기본적인 인권이 보장되고 존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자유로운 시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권력을 혼자서 독점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정치제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사람이 오랫동안 대통령을 하더라도 그것은 주기적으로 선거를 통해 결정되어야 하고, 그 사람이 하는 모든 행위가 법률을 위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충족할 수 없다면 그것을 민주주의라고 할 수 없다. 128
생활정치라는 것은 단순하게 국회나 정부에서 벌어지는ㅇ ㅣㄹ을 도외시한 채 생활주변의 일만 고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국회나 정부에서 벌어지는 제도 정치의 관심을 바탕으로 우리가 정말로 필요로 하는 생활의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171
정치는 언제나 경계에 서 있다. 이쪽과 저쪽의, 현재와 미래의 경계에 서 있는 것이 바로 정치다. 지금의 문제를 미래로 떠넘기지 않고 지금, 여기서,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해결하려고 할 때, 그때 필요한 것이 바로 상상력이다. 189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0) | 2015.02.02 |
---|---|
나의 점집문화 답사기, 한동원 (0) | 2015.01.25 |
남아 있는 나날, 가즈오 이시구로, 송은경 옮김 (0) | 2014.12.31 |
교황과 나, 김근수 (0) | 2014.12.01 |
너는 왜 레즈비언이니? 박김수진 지음, 이매진 (0) | 2014.11.03 |